커맨드 윈도우는 MCU의 각종 변수의 값을 읽거나 쓰는 용도에 사용됩니다. 커맨드윈도우 내에서 'help'라고 타이핑하고 엔터를 치면 명령의 각종 형식에 대해 표시됩니다. 각종 명령의 수행은 사용자가 해당 라인에서 엔터키를 누름으로써 수행됩니다. 총 10개의 커맨드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을 업데이트합니다. 또는 구간이 선택되었을 때는 선택된 구간을 업데이트합니다.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도 동일한 기능이 수행됩니다.
현재 커서가 위치한 라인의 명령을 수행합니다. 또는 구간이 선택되어 있을 시 해당 구간을 수행합니다. 만약 전 구간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, CTRL-A 를 입력하여 전 구간을 선택한 후
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
커맨드 윈도우의 현재 커서의 위치에 새로운 라인을 삽입합니다. 이 기능은 CTRL-Enter 키의 입력과 동일합니다.
대화상자로부터 선택한 커맨드파일(*.cmd)의 내용을 커맨드 윈도우로 복사합니다. 수행되는 내용은 없습니다. 커맨드파일이란 커맨드 윈도우가 지원하는 명령을 모아둔 파일입니다.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명령을 커맨드 파일로 작성한 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 명령어는 'r 파일'의 형식으로 타이핑하므로서도 지원됩니다.
대화상자로부터 선택한 커맨드파일(*.cmd)을 수행합니다. 또한 이 명령어는 커맨드 윈도우에서 'l 파일'의 형식으로도 지원됩니다.
커맨드 윈도우의 내용을 파일로 저장합니다. 블럭이 선택되어 있을 시 블럭만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은 커맨드파일을 생성할 때 유용합니다. 또는 현재 실험 상태를 저장할 때 유용합니다.
진수 표시
dec var
var변수를 십진수로 표시합니다 (기본성질)
hex var var변수를 16진수로 표시합니다 bin var
var변수를 2진수로 표시합니다
대입 및 표시
var = var변수의 값을 표시합니다 &var = var변수의 번지값을 표시합니다 *var = var변수가 기본형 변수의 포인터일 경우 포인터가 가리키는 변수의 값을 표시합니다.
단 Arm 계열 MCU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.(*var).x = var변수가 구조체/공용체 변수의 포인터일 경우 포인터가 가리키는 변수 x의 값을 표시합니다.
단 Arm 계열 MCU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.var = 숫자 var변수에 주어진 값을 대입합니다
16진수 숫자는 0x*** 형식으로 입력 가능합니다
2진수 형식의 숫자는 지원되지 않습니다.
또한 var변수가 실수일 경우, 다음과 같은 형식도 지원됩니다
3e-3, 23K, 23m, 0.34pvar1 = &var2 var1변수의 값을 var2변수의 번지로 대입합니다
이때 var1변수는 정수형이어야 합니다*var =
숫자 또는 <수식>var변수가 기본형 변수의 포인터일 경우 포인터가 가리키는 변수에 값 또는 수식을 대입합니다.
단 Arm 계열 MCU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.(*var).x =
숫자 또는 <수식>var변수가 구조체/공용체 변수의 포인터일 경우 포인터가 가리키는 변수 x에 값 또는 수식을 대입합니다.
단 Arm 계열 MCU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.var = '문자' var변수가 char 또는 unsigned char 형식일 경우, 'A'와 같이 문자형식으로 입력 가능합니다. 문자형식으로 변수값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설정에서 miscellaneous 탭의 'Display printable ...' 옵션을 활성화하시기 바랍니다. var = <수식> var변수의 값을 <>안의 수식의 연산결과값으로 대입합니다
수식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
<e^pi-pi^e>, <1/ln(x)/x>, <exp(-1/pow(x/100,2))>var = 숫자Qn var가 16비트 정수일 경우에는 n=1-15, 32비트 정수일 때에는 n=1-31.
Q포맷에 따라 처리됨var = 숫자Q var변수에 Q포맷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, 해당 Q포맷에 따라 처리됨.
즉, var변수가 Q12일 경우, var=3.14Q 는 var=3.14Q12 와 같음var = <수식>Qn
var = <수식>Q<>안의 수식이 자동계산되어 숫자Qn, 숫자Q 형식과 마찬가지로 처리됨
기타
clear 커맨드 윈도우의 모든 내용을 삭제합니다 // 한 라인 중 '//' 이후의 문장은 주석으로 처리합니다 help 커맨드 윈도우 내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를 설명합니다 l 커맨드파일 커맨드 파일을 수행(load)합니다. 즉, 커맨드파일의 내용을 line to line으로 실행합니다. r 커맨드파일 커맨드파일의 내용을 커맨드윈도우에 복사할 뿐, 수행되는 것은 없습니다. skip 커맨드 파일을 수행할 시, 커맨드 파일내의 skip명령 뒤의 커맨드는 수행하지 않습니다. 주의사항:
한 라인에서 수행될 수 있는 커맨드의 길이는 300을 넘지 말아야합니다.
모든 명령어는 소문자입니다.
오직 Watch 윈도우에서만 실수형 변수에 디멘젼(dimmension) 기능을, 정수형 변수에 Q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해당 변수를 리드/라이트할 시에는 동일한 원칙이 본 Command윈도우에서도 적용됩니다. 자세한 사항은 Watch윈도우를 참조하세요.